커널 , 부팅 , 프로그램 , 명령어 [운영체제 수업]
날짜 : 2023년 3월 8일
오늘 수업 주제
: 커널, 부팅, 프로그램, 명령어
오늘 배운 내용 요약
:
커널 - 운영체제 핵심 기능을 모아놓은 것
->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시스템 관리, 입출력 관리, 프로세스 간 통신 관리
커널의 접근
사용자 : GUI, CLI로 접근
프로그램 : syscall로 접근
하드웨어 : 드라이버 설치로 접근
부팅
메모리
Ram - 휘발성
Rom - 비휘발성
BIOS : 실행 시 연결된 하드웨어를 모두 점검하며, 부팅 시스템을 가져온다 -> 부팅
데이터 : 입력 장치로 CPU에 유입되는 정보
명령어 : 실행할 동작을 명시
프로그램 : 명령어들의 모임
프로그램 -> 프로그램 컴파일 ->기계어 -> 실행
프로세스 : 실행 중인 프로그램
구조 : 코드, 데이터, 스택, 힙
스택 : 지역 변수, Return 주소 등을 저장
힙 : 동적 할당 장소 (malloc, free)
컴파일 과정
code.c -> 컴파일러 -> 실행
컴파일러 구조
전처리기 -> code.io (참조한 라이브러리 등을 확인 및 처리)
컴파일 (코드를 어셈블리어로 변환) -> code.s
어셈블러 (어셈블리어를 기계어로 변환) -> code.o
링커 -> code.exe
-> 실행
명령어 구조
연산 부호( Opcode ) : 프로세서가 실행할 동작인 연산을 지정
피연산자 ( Operand ) : 연산할 데이터 정보의 위치를 저장
연산방법
피연산자 위치를 명시하는 모드 비트를 추가 / 다음 명령어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를 추가
직접 주소 : 피연산자에 데이터가 있는 레지스터나 메모리 주소를 직접 지정
간접 주소 : 레지스터나 메모리 주소의 정보를 지정
명령어의 길이 : 모드 비트1,연산 비트3,피연산자 비트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