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상호배제
- 알고리즘
- Los
- Linux
- SQLInjection
- webhackingkr
- WebHacking
- web
- Python
- sqli
- CODEGATE
- 프로세스
- CCE
- SQL Injection
- crosssitescripting
- hacking
- rubiya
- 해킹
- 시스템
- SQL
- webhacking.kr
- lordofsqlinjection
- 시스템프로그래밍
- 웹해킹
- 화이트햇콘테스트
- ctf
- XSS
- ubuntu
- 운영체제
- Writeup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로그인로직 (1)
One_Blo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TVuQ/btrPynyOj87/4lDUsssMjqEtAzpfZuV2N0/img.png)
오늘은 어제에 이어서 로그인 로직에 대해 더 알아보도록 하자. 우리가 어제 알아본 로그인 로직은 식별과 인증을 동시에 하는 로직 / 식별과 인증을 분리하는 로직 이었다. 오늘 알아볼 로직은 식별과 인증을 동시에 하는 로직(Password를 Hash화), 식별과 인증을 분리하는 로직(Password를 Hash화) 식별과 인증을 동시에 하는 로직( + \n (줄 바꿈 개행문자 )) 이다. 바로 알아보도록 하자. 첫번째로 알아볼 것은 Password를 hash화 하는 식별 . 인증을 동시에 하는 로직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계정의 Password 자체를 Hash화시켜 DB에 저장하는 것이다. 물론 그렇다고 우리가 로그인을 할 때, Hash화 된 값을 입력할 필요는 없다. DB Query가 알아서 우리의 입력을..
웹해킹
2022. 10. 25. 2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