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QL Injection
- webhacking.kr
- ubuntu
- web
- 프로세스
- Los
- ctf
- 시스템프로그래밍
- WebHacking
- 시스템
- 해킹
- CODEGATE
- 화이트햇콘테스트
- 알고리즘
- 웹해킹
- webhackingkr
- sqli
- Writeup
- 운영체제
- 상호배제
- lordofsqlinjection
- Linux
- XSS
- SQL
- rubiya
- CCE
- Python
- crosssitescripting
- SQLInjection
- hacking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79)
One_Blog
웹 해킹을 시작한 지 6개월 째... 지난번엔 CCE 본선을 가는데 성공했고 이번엔 코드게이트에서 문제를 푸는데 성공했다. 주니어부 26위를 했는데, 전날 밤 안자고 풀었으면 본선 갔을 수 있는데 너무 안타깝다. 968점짜리 웹 문제 취약점 찾고 끝났는데, 일단 내가 풀었던 myboard 라이트업을 작성하겠다. 원래 사이트에 접속해서 직접 페이로드를 동작시키는 걸 보여주고 싶었는데, 시험 공부 + 프로젝트 때문에 라이트업 작성을 미루다가 CTF 사이트가 닫혔다. 그래서 그냥 ... 풀이만 올리도록 하겠다. myboard의 경우 글 조회만 가능한 간단한 게시판이 구현되어 있었고, 게시글 총 조회 화면에서 sort_by를 통해 sqli가 가능한 취약점이 있었다. 사실 말만 들어보면 엄청 간단한데, 첫 솔버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67SZR/btskSnUTuRL/hZF3a0GmWDgg73YiakLfHk/img.png)
백준 골드 4 이분 그래프 문제이다. 다음과 같은 그래프가 주어지면 해당 그래프가 이분 그래프인지 아닌 지 판별하는 문제이다. 이분 그래프란, 그래프의 정점 집합을 둘로 분할하여, 각 집합에 속한 정점끼리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분할할 수 있는 그래프를 의미한다. 이런식..?인데, 파랑끼리 연결 안되고, 빨강끼리 연결 안된 거를 보면 된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is_bipartite(a, edges): color = [0] * (a + 1) visited = [False] * (a + 1) for v in range(1, a + 1): if visited[v]: continue stack = deque([(v, 1)]) while stack: vertex, c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uCTXV/btsguLTACrF/evN7xfZv8awCrY4gIY3jCk/img.png)
import bcrypt def compare_password(input_password, hashed_password): return bcrypt.checkpw(input_password.encode('utf-8'), hashed_password) hashed_password = b'$2a$10$HOOZa0SLnGgHgH4dmCxAceYWrv8BE8E5VUeG70c26LWNGRSRWQgUa' # User input while(1): user_input = input("Enter the password: ") if compare_password(user_input, hashed_password): print("O") else: print("X") hashed_password에 탈취한 패스워드 넣고 Ent..
날짜 : 2023년 5월 9일 오늘 수업 주제 : 프로세스 스케줄링 오늘 배운 내용 요약 : I/O Burst (입출력중심 스케줄러) 속도가 느림 빠른 응답을 요구함 높은 우선순위 부여 CPU를 짧게 자주 사용 CPU Burst (CPU중심 스케줄러) CPU를 길게 사용 CPU 중심 CPU 사용 횟수를 줄여서 균형 유지 스케줄러 종류 장기 스케줄러 어떤 프로세스를 준비큐에 넣을 지 결정 시분할 시스템에 두지 않음 메모리에 동시에 올라간 프로세스의 수를 조절 생성 상태 관리 중기 스케줄러 메모리에 적재된 프로세스 수 관리 스와핑을 통해 메모리를 빼앗고 디스크의 스왑 영역에 저장하여 중단 메모리에 여유가 생기면 다시 적재하여 메모리에 올라온 프로세스의 수 조절 중단된 준비, 중단된 대기, 대기 상태 관리 단..